
국민연금 과오납 조회 방법
최근 국민연금에서 잘못 징수된 금액이 1조 5천억 원에 이르는데, 많은 사람들이 본인도 모르게 과납한 금액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환급금 확인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환급금 확인 방법
- 국민연금 공식 누리집에 접속 후 본인 인증을 진행합니다.
- 상단 메뉴에서 ‘전자민원’ 클릭 후 ‘개인’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 ‘조회’ 메뉴를 선택하여 인증 절차를 거칩니다.
- 핸드폰 사용자라면 앱을 설치하여 로그인 후 동일하게 확인 가능합니다.
- 온라인이 익숙하지 않다면 공단 고객센터 1355로 전화하여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조회 결과 환급금이 없다면 아쉽겠지만,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잠재적인 환급금이 있을 수 있으니, 몇 분 시간을 내어 꼭 살펴보세요.
환급 신청 방법
환급금을 확인한 후에는 신청을 해야 실제로 통장으로 입금됩니다. 이 과정을 잊지 마세요.
과오납금 신청 기한 및 방법
과오납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시간이 지나면 환급이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이 기한을 챙기셔야 합니다.
신청 방법
신청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온라인: 공단 누리집에 로그인 후 ‘전자민원’ 메뉴에서 ‘개인’ 항목의 ‘과오납금 조회’를 선택합니다. 본인 인증 후 환급 대상 확인 시 신청서를 작성하면 됩니다. 계좌번호 및 신분증 사본은 사진으로 첨부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공단 지사 방문, 우편 또는 팩스 신청. 이 경우 신분증과 통장 사본을 준비해야 합니다.
과오납금 발생 이유
과오납금 규모는 1조 5천억 원이 넘으며, 여러 이유로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직장 퇴사 후 자동이체를 잊고 놔두는 경우
- 소득보다 높은 액수로 신고되어 과납부가 발생하는 경우
- 직장 가입자로 납부 중인데 지역 가입자로 이중 납부되는 경우
해프닝과 과오납 금액 문제
알고 보면 웃지 못할 해프닝이죠. 퇴직이나 폐업을 해도 신고를 늦게 하면 자격이 정리되지 않아서 계속 납부가 이어지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이 쌓이면 과오납 금액이 점점 불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환급금 지급액
잘못 걷힌 돈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받은 금액이 궁금하실 겁니다. 납부 상황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 예를 들어 퇴직 후 자동이체를 해지하지 못해 계속 납부되었다면,
- 해당 기간 동안 납부한 월 보험료를 계산하여 환급합니다.
- 한 달에 12만 원을 납부한 경우, 4개월 동안 빠져나갔다면 약 48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규모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2천억 원을 넘었고, 2023년에는 3천억 원을 훌쩍 넘겼습니다. 2024년에는 3,228억 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025년은 반도 지나지 않았지만, 1,500억 원 이상 발생했습니다. 5년 동안 1조 5천억 원 이상의 과오납금이 발생한 셈이니 간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현재도 약 17만 명이 환급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그 금액은 700억 원이 넘습니다. 우리 주변에 이런 분들이 계실지도 모릅니다.
추천 글
에픽하이 공연 티켓팅|예매 오픈 일정과 예매처 확인하기
불꽃야구 부산고 편 24회, 실시간 라이브 중계와 경기 결과 확인
준플레이오프 3차전 삼성 SSG 경기 중계|10월 13일 선발·결정전 변수·시청 링크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