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부담경감크레딧 제도 소개
2025년 정부는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새롭게 추진하는 부담경감크레딧 제도를 도입합니다. 이 제도는 소상공인이 고정비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최대 50만원 상당의 디지털 크레딧(포인트)을 제공합니다.
부담경감크레딧 개요
부담경감크레딧은 다음과 같은 핵심 내용을 포함합니다:
- 2025년 한시적 시행의 직접지원 정책
- 소상공인의 필수 고정비(공공요금 및 4대 보험료 등) 부담 경감
- 현금 지원이 아닌 디지털 크레딧 방식으로 제공
- 1인당 50만원 상당의 크레딧 지급
- 신청자 등록 카드 계정에 충전 후 지정 사용처에서 자동 차감
지원 대상 및 제외 업종
부담경감크레딧의 지원 대상은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2024년 또는 2025년 매출액이 0원 초과 3억원 이하인 소상공인
- 국세청 신고 매출 기준 적용
이 외에 신청 방법과 절차, 사용처 등에 대해서도 자영업자분들이 꼭 숙지해야 할 사항이 많습니다. 차후 관련 정보도 함께 안내드리겠습니다.
지원 대상 및 신청 자격
2025년 5월 1일 이전에 개업하여 영업 중인 사업자가 지원 대상입니다. 휴업이나 폐업 중인 사업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지원 가능자는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로, 대표자가 여러 사업체를 운영할 경우 1인 1사업체만 지원됩니다.
다음 업종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유흥주점업
- 도박 및 복권업
- 담배 중개업
- 가상자산 매매업
- 부동산 임대업
- 금융 및 보험업
- 성인용품 및 사행성 기기 취급 업종
소상공인 50만원 지원금 신청 방법
지원금 신청 기간은 2025년 7월 14일(월) 오전 9시부터 11월 28일(금) 오후 6시까지입니다. 안전하고 원활한 신청을 위해, 7월 14일부터 18일까지는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5부제로 운영됩니다. 이후에는 끝자리와 관계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은 온라인을 통해 부담경감크레딧 공식 누리집에서 본인 인증 후 간단하게 접수할 수 있습니다.
지원금 지급 방식과 사용처
지원금은 현금 대신 디지털 크레딧 형태로 지급됩니다. 신청 시 사용 가능한 카드사는 다음 9개이며, 원하는 카드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 국민
- 농협
- 롯데
- BC
- 삼성
- 신한
- 우리
- 하나
- 현대
신청 및 승인 절차
신청·심사·승인 절차를 거친 후 최종 승인된 신청자는 알림톡 또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승인 결과를 안내받습니다. 이후 카드에 자동으로 크레딧이 부여되어 사용 가능합니다.
크레딧 사용 조건
- 지급된 크레딧은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 잔액은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 사용처:
- 전기요금, 가스요금,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등 4대 보험료
- 2025년 8월부터는 통신비(휴대폰·인터넷), 연료비(주유) 등으로 사용처가 확대될 예정입니다.
- 크레딧은 일시불 결제 시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할부 결제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정리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은 자영업자들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추진되는 핵심 정책으로, 최대 50만원 상당의 디지털 크레딧을 통해 전기, 가스, 수도 및 4대 보험료 등 필수 고정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간편한 온라인 신청으로 빠르게 지원받을 수 있으며, 자격 요건, 기간, 사용처 및 사용 기한 등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서류 준비 및 신청 절차를 정확히 진행하여 지원금 수령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추천 글
내 개인정보 유출됐나? SKT 고객 유출 여부 확인하는 법 정리
민생지원금 온라인 신청방법 정리|네이버페이 지급 방식 안내
국민청원 참여법|진성준 제명·대주주 양도세 이슈 한눈에 보기